[리눅스] 리눅스 쉘 bash, 쉘 작성하기
by mini_min
리눅스 쉘 shell
쉘은 커널과 사용자 간의 다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명령을 해독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쉘이 명령을 받아 커널에 전달한다.
커널은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기계어를 통해 하드웨어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쉘 스크립트
✨ 쉘 스크립트의 장점!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 스크립트 파일 형태로 작성하여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의 같은 코드로 쓰인 것보다 훨 빠른 경우가 많다
컴파일 단계가 없어서 디버깅 하는 동안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스크립트 내용을 모르는 사용자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Bash 셀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쉘 조건문 (if) if와 대괄호 []
Fi 로 if 문의 끝을 알려줘야한다.
If 문 뒤에 나오는 대괄호 [] 와 조건식 사이에는 반드시 공백이 존재해야한다.
If 와 then 을 붙여 쓰고 싶으면 반드시 세미콜론 ; 을 써야한다.
리눅스 쉘 bash 경로
/etc/profile - 시스템 전역 쉘 변수
시스템 사용자 전체에 적용할 쉘 환경 변수를 담는다.
경로 변수, 사용자 환경변수, 로그인 사용자, 사용자 메일박스, 호스트 이름, 히스토리 등 다양한 환경 변수를 정의한다.
초기 로그인시 수행된다.
~/.bash_profile - 유저 개인의 환경설정
Bash 는 실행의 주체인 사용자에게만 영향을 준다. (지역 변수)
실행 순서 : /etc/profile 로 전역적인 설정 파일 실행 -> ~/.bash_profile 을 실행
/etc/profile 과 항목 동일
/etc/bashrc - 쉘 함수, alias 시스템 전역 변수 정의 (= ~/.bashrc
~/.bash_logout - 로그아웃 설정파일
각 유저 자신에 대한 로그아웃 절차와 로그아웃시 실행할 절차를 선언할 수 있다.
쉘 실행 순서
/etc/profile.d/*.sh
/etc/profile
/etc/bashrc
~/.bashrc
~/.bash_profile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Linux 서버 자바 수동 설치 openjdk 설치 (0) | 2023.05.13 |
---|---|
[리눅스] 리눅스 호스트 추가하기 (0) | 2023.05.13 |
[리눅스] 리눅스 서버에 DB 추가하기 (0) | 2023.05.13 |
[리눅스] 리눅스 변수 (0) | 2023.05.13 |
[리눅스] 리눅스 명령어 모음 (리눅스 사용 이유) (0) | 2023.05.13 |
블로그의 정보
개발자 미니민의 개발로그
mini_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