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by mini_min[spring] 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 의존성 주입
: 객체 자체가 아니라 Framework 에 의해 객체의 의존성이 주입되는 설계 패턴이다.
: 빈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각 클래스 간의 의존 관계를 설정, 연결한다.
: 프레임워크로 인해 주입되므로 모듈 간의 결합도가 낮아지고, 유연성이 높아진다.
💖 의존성 주입의 장점
- 객체 상호 간 의존성 관계를 줄여준다.
- 코드의 재사용과 조합이 용이하다.
- 코드들이 분리되어 가독성이 높다.
- 구조는 변화에 민감하지 않을 수 있다.
- 기타 테스트가 용이하고 다양한 패턴을 적용하는데 유연하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ean Scopes 빈 객체 범위 정의 (0) | 2022.11.09 |
---|---|
[spring] 의존성 주입 - 생성자, setter, 프로퍼티 파일 (0) | 2022.11.09 |
[spring] 주요 인터페이스, 의존성 주입 개념 (0) | 2022.11.08 |
[spring] <bean> 태그, 생성자 의존성 주입 방법 (0) | 2022.11.08 |
[spring] 스프링 개념 -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0) | 2022.11.08 |
블로그의 정보
개발자 미니민의 개발로그
mini_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