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미니민의 개발스터디

[javascript] 화살표 함수 표현

by mini_min
[javascript] 화살표 함수 표현

✔️ 화살표 함수 표현

: 화살표 함수 표현은 function 표현에 비해 구문이 짧아서 자주 쓴다.

: 화살표 함수는 항상 익명이다.

: 매개변수가 하나 뿐일 때 괄호는 선택사항이다.

: 매개변수가 없는 함수는 괄호가 필요!✨

//---------------------
//함수 표현식
var sub1 = function(args) {
	return args.length;
};
console.log( sub1('seoul')); // 문자열의 길이 구하기
// length =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


//---------------------
//화살표 함수
var sub2 = (args) => {return args.length;};
console.log(sub2('seoul'));
💡 () 가로 : 안에 인자가 들어옴
() 가로 다음에 => 화살표 
이후 {} 구문 작성하기

 

-- 파라미터가 하나만 있는 경우 괄호 생략

//---------------------
//파라미터가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주변 괄호를 생략할 수 있다. 
var sub3 = args => {return args.length;};
console.log(sub3('seoul korea'));

 

-- 화살표 함수의 유일한 문장이 return 일때, return  과 중괄호 생략 가능

//---------------------
//화살표 함수의 유일한 문장이 return 일때, return  과 중괄호 생략 가능
var sub4 = args => args.length;
console.log(sub4('css'));

 

 

 

 

 

블로그의 정보

개발자 미니민의 개발로그

mini_min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