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table 태그 (colspan / rowspan / border-collapse)
by mini_min[HTML]
table 태그 (colspan / rowspan / border-collapse)
✔️ table 태그
테이블 태그로, 테이블(표)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태그다.
<tr> : 테이블의 행을 나타내며, <td> 와 <th> 등 열을 결정하는 태그를 포함한다.
<td> : 테이블 데이터를 나타냄
<th> : 테이블 헤더를 나타냄
✨ 테이블은 <caption> , <col> , <colgroup>, <thead> , <tfoot> , <tbody> 태그 포함 가능!
✨ 이때 , thead 와 tfoot 요소는 단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thead 부분 | thead 부분 | thead 부분 |
tbody | tbody | tbody |
tfoot | tfoot | tfoot |
<table border="1" style="width: 400px;">
<!-- border : table 및 td 에게 선border를 주는 것이다. -->
<!-- th:제목표시, 진하게, 가운데 정렬 -->
<!-- td: 내용 -->
<!-- tr: 행표시 (th와 td가 들어옴) -->
<!-- 안주면 tbody 가 들어간다. (생략가능) -->
<tr>
<th>제목1</th>
<th>제목2</th>
<th>제목3</th>
<th>제목4</th>
</tr>
<tr>
<td>A</td>
<td>B</td>
<td>C</td>
<td>D</td>
</tr>
<tr>
<td>E</td>
<td>F</td>
<td>G</td>
<td>H</td>
</tr>
</table>
<br><hr>
💡 border 는 table 및 td 에게 선border를 주는 것이다.
📓 table 태그 종류
<tr> ~ </tr>
: 테이블 행 태그로 테이블 태그 내에 행을 정의한다.
✨ 속성 : align (콘텐츠 정렬을 지정) / height (행의 높이를 픽셀로 지정)
<td> ~ </td>
: 테이블 데이터 태그로 <tr> 안에 기술하며 컬럼을 정의한다.
✨ 속성 : align (콘텐츠 정렬을 지정) / colspan, rowspan 등 / valign (셀 내용의 수직 정렬을 정의) / width (너비를 지정) / height (높이를 지정)
<th> ~ </th>
: 테이블 헤더 태그로 셀의 제목을 정의한다.
✨ 기본적으로 굵게 표시되며 가운데 정렬됨! 속성은 <td> 태그와 동일하다.
<col>
: 컬럼 태그
: 하나 이상의 행을 나타내며, 자식 요소가 없는 빈 요소이다.
✔️ <colspan>
: 가로로 합치는 열 수 지정
<!-- colspan : 가로로 합치는 열 수 지정 -->
<table border="1" style="width: 300px;">
<tr>
<!-- width 를 위랑 아래랑 다르게 줄 수 없으니, 첫번째만 주면 된다.! -->
<td width="80">A</td>
<td width="80">B</td>
<td>C</td> <!-- 나머지 값 냠냠. width="140"과 동일 -->
<td>D</td>
</tr>
<tr>
<td>E</td>
<td colspan="2">F</td>
<td>G</td>
</tr>
<tr>
<td>E</td>
<td colspan="2">F</td>
<td>G</td>
</tr>
<tr>
<td>H</td>
<td colspan="3">I</td>
</tr>
</table>
<br><hr>
✔️ <rowspan>
: 세로로 합치는 행수 지정
<!-- rowspan : 세로로 합치는 행수 지정 -->
<table border="1" style="width: 300px;">
<tr>
<td>A</td>
<td>B</td>
<td>C</td>
<td>D</td>
</tr>
<tr>
<td>E</td>
<td rowspan="2">F</td>
<td>G</td>
<td>H</td>
</tr>
<tr>
<td>I</td>
<td colspan="2">I</td>
</tr>
</table>
<br><hr>
✔️ <border-collapse>
: 선의 표시 방법 지정하는 태그이다.
: 테두리는 border 속성으로 구체적인 테두리선의 스타일을 지정해줘야한다.
: tr 요소는 기본적으로 스타일의 border 속성을 이용해 테두리 지정이 불가하다.
: border 속성 이용해 테두리 설정하려면 table 요소의 스타일에 border-collapse: collapse; 지정이 필요하다.
<!-- border-collapse : 선의 표시 방법 지정. -->
<table border="1" style="width: 300px; margin: 20px auto; border-collapse: collapse;">
<caption>테이블 예제</caption>
<tr align="center">
<td>A</td>
<td>B</td>
<td align="right" style="padding-right: 5px;">C</td>
<td>D</td>
</tr>
<tr align="center">
<td>E</td>
<td rowspan="2">F</td>
<td>G</td>
<td>H</td>
</tr>
<tr align="center">
<td>I</td>
<td colspan="2">I</td>
</tr>
</table>
<br><hr>
✔️ <caption> ~ </caption>
: 테이블 제목 설명 태그이다.
: 테이블의 제목이나 특성을 설명한다.
: 반드시 <table> 태그 안에 들어가야함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col / colgroup 태그 (0) | 2022.09.08 |
---|---|
[HTML] table 태그로 성적표 만들기 (0) | 2022.09.08 |
[HTML] semantic 시멘틱 태그 (main, article, section, nav 등) (0) | 2022.09.08 |
[HTML] vertical-align 태그 (0) | 2022.09.08 |
[HTML] inline 인라인 태그 <span> / display 속성 (0) | 2022.09.08 |
블로그의 정보
개발자 미니민의 개발로그
mini_min